ISO 3166-2:KR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SO 3166-2:KR은 ISO 3166-2 표준의 일부로, 대한민국 행정 구역에 할당된 코드를 정의한다. 이 코드는 대한민국의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도, 특별자치도 등 행정 구역을 나타내며, 각 구역의 코드, 이름, 로마자 표기법, 영어 위키백과 링크, 종류 등을 표로 제공한다. ISO는 뉴스레터와 온라인 카탈로그를 통해 코드 변경 사항을 발표하며, 2023년 11월 23일 강원특별자치도의 카테고리 이름이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에 관한 목록 - 대한민국 개요
대한민국은 한반도 남쪽에 위치하며 서울을 수도로 하는 대통령 중심제의 공화국이며, 산지가 많고 리아스식 해안을 가지며, 고조선 건국 이후 삼국 시대, 통일 신라, 고려, 조선, 대한제국을 거쳐 분단 이후 수립되었고, IT, 반도체, 자동차, 조선 등 제조업이 발달하고 한류 열풍으로 국제적 위상이 높아졌다. - 대한민국에 관한 목록 - 대한민국의 국제 순위
대한민국은 경제, 교육, 혁신, 과학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제적인 순위 평가를 받고 있으며, 높은 경제 순위와 교육 성취도, 혁신적인 성과를 보이는 반면, 사회 및 삶의 질 분야에서는 긍정적인 평가에도 불구하고 자살률과 출산율은 개선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도 (행정 구역)
도는 여러 국가에서 행정 구역 단위로 사용되며, 중국에서는 시대에 따라 행정구역의 지위가 변화했고, 한반도에서는 조선의 8도 체제가 남북한의 도 체계의 기반이 되었으며, 일본에서는 홋카이도에서만 '도' 명칭을 사용하고, 이탈리아와 스페인 등 다른 국가에서도 각기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법정동
법정동은 행정 기능이 아닌 전통적 지역 구분 단위로, 주소 및 지적 분야에서 활용되며, '○○동' 또는 일제강점기 유래 가로명으로 명명되고, 동행정복지센터가 관할한다. - ISO 3166 - ISO 3166-1
ISO 3166-1은 국가 식별을 위한 국제 표준으로 숫자 코드, 알파벳 두 글자(alpha-2), 세 글자(alpha-3) 코드 시스템을 제공하며, 유엔의 통계적 분류와 정치적 상황을 고려하여 코드가 할당되고 필요에 따라 업데이트된다. - ISO 3166 - ISO 3166-2:US
ISO 3166-2:US는 ISO 3166-2 표준의 일부로서 미국의 주, 특별구, 해외 영토에 고유한 하위 행정 구역 코드를 "US-"로 시작하는 형식으로 정의하며, 일부 해외 영토는 ISO 3166-1에서 자체 국가 코드를 갖는다.
ISO 3166-2:KR |
---|
2.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코드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코드는 ISO 3166-2:KR에 정의되어 있다. 이 코드는 ISO 3166-2 표준의 일부로, 대한민국의 주요 행정 구역(특별시, 광역시, 도, 특별자치시, 특별자치도)에 대한 고유 식별자를 제공한다. 각 코드는 'KR-'이라는 접두사와 두 자리 숫자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서울특별시는 'KR-11', 경기도는 'KR-41'과 같이 표현된다.
ISO 3166-2:KR 코드는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명칭과 함께,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및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 따른 로마자 표기, 영어 위키백과 표제어를 제공하여 국제적인 호환성과 정보 접근성을 높인다.
2023년 11월 23일, KR-42 (강원특별자치도)의 카테고리 이름이 '도'에서 '특별자치도'로 변경되었다.[1]
2. 1. 코드 목록
코드 | 이름 |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영어 위키백과 | 종류 |
---|---|---|---|---|---|
KR-11 | 서울특별시 | Seoul-teukbyeolsi [Seoul] | Seoul-T'ŭkpyŏlshi | Seoul | 특별시 |
KR-26 | 부산광역시 | Busan-gwangyeoksi [Busan] | Pusan-Kwangyŏkshi | Busan | 광역시 |
KR-27 | 대구광역시 | Daegu-gwangyeoksi [Daegu] | Taegu-Kwangyŏkshi | Daegu | 광역시 |
KR-28 | 인천광역시 | Incheon-gwangyeoksi [Incheon] | Inchŏn-Kwangyŏkshi | Incheon | 광역시 |
KR-29 | 광주광역시 | Gwangju-gwangyeoksi [Gwangju] | Kwangju-Kwangyŏkshi | Gwangju | 광역시 |
KR-30 | 대전광역시 | Daejeon-gwangyeoksi [Daejeon] | Taejŏn-Kwangyŏkshi | Daejeon | 광역시 |
KR-31 | 울산광역시 | Ulsan-gwangyeoksi [Ulsan] | Ulsan-Kwangyŏkshi | Ulsan | 광역시 |
KR-50 | 세종특별자치시 | Sejong-teukbyeoljachisi [Sejong] | Sejong-Tŭkpyŏlchachishi | Sejong | 특별자치시 |
KR-41 | 경기도 | Gyeonggi-do [Gyeonggi] | Kyŏnggi-do | Gyeonggi | 도 |
KR-42 | 강원특별자치도 | Gangwon-teukbyeoljachido [Gangwon] | Kangwŏn-tŭkpyŏlchachido | Gangwon | 특별자치도 |
KR-43 | 충청북도 | Chungcheongbuk-do [Chungbuk] | Chungchŏngbuk-do | North Chungcheong | 도 |
KR-44 | 충청남도 | Chungcheongnam-do [Chungnam] | Chungchŏngnam-do | South Chungcheong | 도 |
KR-45 | 전라북도 | Jeollabuk-do [Jeonbuk] | Chŏllabuk-do | North Jeolla | 도 |
KR-46 | 전라남도 | Jeollanam-do [Jeonnam] | Chŏllanam-do | South Jeolla | 도 |
KR-47 | 경상북도 | Gyeongsangbuk-do [Gyeongbuk] | Kyŏnsangbuk-do | North Gyeongsang | 도 |
KR-48 | 경상남도 | Gyeongsangnam-do [Gyeongnam] | Kyŏnsangnam-do | South Gyeongsang | 도 |
KR-49 | 제주특별자치도 | Jeju-teukbyeoljachido [Jeju] | Cheju-tŭkpyŏlchachido | Jeju | 특별자치도 |
2. 2. 코드 변경 사항
ISO 3166/MA영어에서 1998년 ISO 3166-2가 처음 발표된 이후 뉴스레터를 통해 다음과 같은 변경 사항이 발표되었다.뉴스레터 | 발행일 | 뉴스레터의 변경 사항 설명 |
---|---|---|
뉴스레터 I-1 | 2000-06-21 | 철자 오류 1건 수정. 소스 정보 업데이트 |
ISO영어 온라인 카탈로그인 온라인 브라우징 플랫폼에는 다음과 같은 변경 사항이 나열되어 있다.
참조
[1]
문서
For reference only, Korean name in Korean script not included in the ISO 3166-2 standard.
[2]
문서
For reference only, English name not included in the ISO 3166-2 standar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